Water Quality Analysis 자세히보기

ETC.

한국사, 요약집

Hi, 2016. 8. 28. 13:21


   동기의 보급이 사회발전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첫째, 농업의 발달

돌도끼, 흠자귀, 돌괭이, 나무로 만든 쟁기를 이용해 밭갈이를 하고, 조·수수·보리·콩 등을 재배하였다. 일부 지방에서는 벼농사도 행해졌다. 반달 돌칼은 곡식의 이삭을 자르는 데 쓰였고 반달돌칼 등을 통해 당시 농업이 발달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도 아직은 돌로 만든 농기구를 사용했고, 청동기는 주로 장신구·무기·제사 용기 등을 만드는 데 쓰였다.

둘째, 혈연 중심 사회

족장의 세력 강화 - 청동기 시대에는 농업의 발달과 사회 발전에 따라 씨족 사회 내부에 변화가 생겨 족장들의 세력이 강해지기 시작하였다.


공동체 사회 붕괴 - 청동으로 만든 칼이나 창으로 무장한 부족들은 이웃 부족을 정복하고 그들로부터 공납을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공동체 사회는 무너지고 혈연 중심의 사회가 발전해 지역 단위 생활을 하게 되었다.


셋째, 빈부의 차이 발생

청동기 시대에는 개인이 재산을 소유하게 되면서 빈부의 차이가 생겨 씨족 구성원 사이에 지위의 구별이 생겼다.


넷째, 고인돌과 돌널무넘

우세한 부족은 스스로 하늘의 아들이라고 믿는 선민사상을 가지고 거대한 고인돌이나 돌널무덤을 만들고 선돌(입석)을 세우기도 하였다. 고인돌은 한반도와 랴오둥 반도에 걸쳐 널리 발견되고, 돌널무덤은 한반도와 만주·몽골은 물론 멀리 바이칼 호 부근까지 분포한다. 



   불교가 삼국시대의 역사 전개과정에서 기여한 점과 불교가 지니는 특징을 설명하시오.


삼국시대 - 초부족적인 종교의 필요성으로 왕실에서 수용(호국불교)하였으며, 그로인한 영향으로서 국민(귀족)의 사상 통합과 고대문화의 발달이다.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삼국시대이다.

고구려와 백제는 4세기 후반에 중국을 통하여 불교를 받아들였고, 신라는 그보다 150년 정도 늦은 6세기 전반에 공식적으로 불교를 받아들였다.


삼국 시대의 불교 전래는 국가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국가 중심적인 종교로 되었으므로 호국적인 성격을 강하게 풍기게 되었다. 개인적인 치병이나 구복도 포함되지만 국가의 발전을 비는 호국신앙이 강렬하였다. 특히 백제나 신라의 많은 절이 호국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특히 왕흥사(백제)와 황룡사(신라)는 호국의식을 전담한 사찰로서 그 규모는 대단하였다.


삼국 시대의 불교가 호국 불교적 특징을 지니게 된 것은 당시에 왕권 강화의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던 귀족세력의 무속신앙적 사상 기반을 해소하기 위해 왕실에서 불교를 적극적으로 환영하여 받아들인 것에 연유하며, 이런 목적에서 삼국 시대의 불교는 무속신앙을 불교로 섭화하는 작업에 집중되어 있었다. 신라의 삼국 통일(676)은 이러한 작업의 성숙기에 이루어졌다.


   .  삼국의 대외 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서술하시오.


4세기

백제 근초고왕 강성 <-> 고구려(소수림), 신라(내물) 우호

전진 = 고구려 = 신라 동진 = 백제 = 왜

5세기

고구려 광개토, 장수왕, 진흥왕 강성 <-> 나제동맹

신라 = 백제 = 남조 = 왜 고구려 = 남북조 = 유연

6세기

신라 법흥왕, 진흥왕 강성 <-> 여제동맹

신라 = 수 고구려 = 돌궐 = 백제 = 양 = 왜

7세기

나당연합 <-> 여제동맹

신라 = 당 고구려 = 돌궐 = 백제 = 왜




1. 고구려의 대외관계 특징  

1) 중국 세력의 침략으로부터 한반도 보호했다.
2) 중국,북방 민족, 왜 등을 외교적으로 이용했다.
3) 중국의 5호 16국 시대 → 요동 지방 진출했다.
4) 장수왕 : 중국 남북조의 분열 이용 → 국제적 지위 높였다.

2. 백제의 대외관계 특징

1) 동진과 외교(고구려 견제 목적)(4세기 근초고왕 때)
2) 규슈의 왜와 외교했다.
3) 중국 남조와의 친선(5~6세기)
4) 왜를 삼국 항쟁에 이용(5~6세기)

3. 신라의 대외 관계의 특징

신라는 4세기부터는 고구려를 통해서 중국과 교류하였고, 5세기는 백제를 통해서, 6세기 이후는 직접 교류하였음(한강 유역 확보)

4. 삼국의 대외관계 특징

1) 삼국은 국가의 발전과정에서 동맹과 항쟁을 거듭하였다.
2) 삼국은 중국세력과 이해 관계에 따라 항쟁과 교류를 하였다. 
3) 삼국간의 항쟁은 국제전 성격을 나타낸다.
4) 삼국간의 항쟁은 한강유역이 가장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원효와 의상의 활동이 지니는 의의를 그 시대적 상황과 관련하여 서술하시오.


원효 : 화쟁사상을 통해 종파간 조화추구, 불교의 대중화 노력, 6두품출신, 대중불교


당시 교종은 형식과 교리를 중시 여겨 일반백성들은 믿기 어려웠다. 이에 원효는 누구나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만 믿고 따르면 극락에 간다는 정토종을 만들어 글을 모르는 일반 백성들에게 널리 전해 불교대중화를 이루었습니다.


의상 : 당에 유학, 신라의 화엄종 개창(조화 강조, 교단형성, 부석사 등 서원 건립), 진골귀족출신, 귀족불교

당시 어지러운 사회 속에서 의상은 화엄사상을 강조했다. 화엄사상은 가르침은 서로 대립하고 항쟁을 거듭하는 국가와 사회를 정화하고, 사람들의 대립도 하지 않게 함으로써 마음을 통일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은 전제왕권국가의 정치체제를 정신적으로 뒷받침하는 큰 구실을 담당하였다.




    신라하대 사상계에 있어서의 변화 내용을 3가지로 요악하여 서술하시오


신라 하대에 교종(경전 연구중심)에서 선종(깨달음중시)와 풍수지리 사상이 유행하고 호족이라는 지방 세력이 성정하며 토지를 잃은 농민들이 초적이 되고 이후 중앙에서는 진골귀족들 사이에 왕위 쟁탈전이 치열하게 일어나게 됩니다. 지방에 대한 통제가 약해지며 호족이 발호한 것과 동시에 불교에서는 중대에 유행했던 교종과 성격이 다른 선종이 유행하게 됩니다. 


1) 귀족들의 농장 확대, 자영농의 몰락, 노비화

2) 지방 호족의 등장, 민생 악화와 전국적 농민 봉기 발생

3) 6두품과 선종 승려들의 신라 사회비판 -> 호족과 결탁 -> 사회개혁 추구